-
[작동 원리]
- 전극으로 사용 될 두 기판이 마주보고 13.56MHz의 RF Power를 인가한다
- 매우 빠른속도로 전극이 뒤바뀌지만 전자의 mobility가 빨라 이에 즉각 반응하며 원자와 충돌해 플라즈마를 생성한다.
- 전자가 벽쪽에 더 빠르게 부딪히며 상대적으로 느린 양이온이 가운데에 모이고 plasma sheth가 생겨 양이온과 전자가 분리되며 양, 음극으로 나눠지며 self bias를 형성한다.
- wafer 기판이 있는 쪽에 bias 전극을 걸어 양이온들이 음극에 끌려가게 해 기판에 수직으로 입사시킨다.
[특징]
- 그라운드 전극 위에 wafer를 놓아 radical에 의한 화학적 식각에 주로 사용된다.
- 10mTorr ~ 10 Torr 사이의 상대적 높은 압력에서 공정이 이뤄지고 전극간의 거리는 1~10cm로 좁다.
- RF전원 한 주기에 대해 전기장이 한쪽 방향으로만 개방적이므로, 전자가 이동중에 챔버의 벽이나 전극과 부딪혀 손실될 가능성이크다. 따라서 ICP 대비 상대적으로 저밀도의 플라즈마를 갖는다.
- 전극이 마주보고있어 대면적으로 균일한 플라즈마를 형성할 수 있다.
- 반면에 한 쌍의 전극으로 플라즈마의 생성, 유지, 및 Sheth 전압을 동시에 제어해야 하므로 플라즈마의 물리적 반응과 화학적 반응의 독립적 제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.
- 플라즈마를 고밀도화 하려고 높은 전력을 사용하면 기판의 전기장의 세기가 증가해 이온이 더 가속화되어 기판에 손상을 준다.
- 압력을 낮춰 방향성을 조절하려하면 이온의 밀도가 낮아져 식각속도가 낮아지고 이온의 에너지가 높아져 기판에 손상이 간다
- 식각속도를 증가하려고 압력을 높이면 이온보다 Radical의 밀도가 높아져 이온 에너지가 낮아지고 방향 조절이 안됨.
<유도성 결합 플라즈마 장비 : ICP(Inductively Coupled Plasma)>
- 챔버를 나선형(수직), 솔레노이드형(몸통 감싸기) 코일로 감싸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원리
[작동 원리]
- 코일에 13.56MHz의 RF Power를 인가하여 생긴 자기장으로 페러데이,렌츠 법칙에 따라 자기장이 빠르게 변화할 때 자기장의 힘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생기는 유도기전력을 통해 생기는 유도전기장을 형성한다.
- 전자기장에 의해 가속된 전자가 시계, 반시계방향으로 폐쇄적으로 회전하며 주입되는 가스를 모조리 다때려서서 가운데에 이온과 Radical들을 모아 고밀도의 플라즈마를 형성한다. (etch속도 빠름)
- 기판에 bias 전극을 달아서 이온의 입사 에너지를 조절한다.
[특징]
- 플라즈마의 밀도가 높아 식각속도가 빠르고 이온에너지가 낮아 기판 손상 정도가 낮아진다.
- 플라즈마 생성/제어와 이온 입사를 따로 제어해 화학적, 물리적 반응을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하다.
- 플라즈마가 넓게 형성되어 self bias를 덜 형성해 이온을 자체적으로 가속시키지 않아 Ion에 의한 기판손상이 적다.
- 직접 전극으로 이온 입사 에너지를 제어해 낮은 압력에도 비등방성이 강하다.
- CCP 장비에 비해 플라즈마가 불균일하다
<공정 불량 이슈 및 대처방안>
1. 부적절한 Etch rate (원인 : 해결법)
- RF 전원의 변화 : RF발생기와 유닛, 정합의 문제점 해결 및 확인
- 부정확한 온도와 압력 : 웨이퍼 후면의 냉각 시스템 확인, 진공계기와 압력 제어 시스템 조정
- 부적절한 종말점 측정 : 종말점 측정 시스템 재확인
- 부적절한 웨이퍼 배치 : 웨이퍼와 전극 간격 확인
- 부적절한 동적 가스의 흐름 : 가스 분배시스템 확인
- 부적절한 공정 순서 : 공정 방식과 파라미터 확인
2. 부적절한 Selectivity (원인 : 해결법)
- 높은 식각 비율 : 식각 비율 확인
- 부정확한 가스 흐름이나 압력 : MFC(Mass Flow Controller)와 진공계기 조정
3. 부적당한 측벽 Profile 각도 (원인 : 해결법)
- 측벽의 오염 : 반응실에서 축적된 폴리머 확인
- 부적당한 공정 방식 : MFCs 확인 및 조정, 오염을 확인하기 위해 누설검사 수행
4. 웨이퍼 내 불균일 식각 = Bad Uniformity (원인 : 해결법)
- 반응실의 구성, 웨이퍼 온도, 부적당한 가스 흐름과 웨이퍼 위치 : 금속판 간격, 열전대와 웨이퍼 냉각, 가스분배, 웨이퍼 조절 시스템 확인
- 설계 의존적인 식각 농축액 고갈 : 웨이퍼의 밀집된 공간과 산재된 공간을 적절히 고려한 설계
5. 플라즈마에 의한 손상(원인 : 해결법)
- 불균일 플라즈마 : 불충분하게 설계되거나 유지되는 플라즈마 점검
- 게이트 산화물의 과도한 이온 충격 : 차선적인 조건의 조건을 설정(RECIPE 수정)
- 과도한 RF 전원 : 식각 방식과 RF 발생기를 확인 및 조정
6. 입자 오염 물질에 의한 불량(원인 : 해결법)
- 가스라인의 누출과 오염 : 누출 부분을 확인하여 수선하거나 세정, 심한 경우엔 교체한다
- 부적절한 화학가스 : 가스라인에 부합된 가스만을 사용
7. 금속 부식(원인 : 해결법)
- 습기 : 식각 후 부산물 제거를 위한 과도한 시간 연기 금지
'반도체 > 공정분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20. 이온주입공정 (0) 2022.07.21 #19. 반도체 TEST 공정 (0) 2022.07.21 #12. ALD, 원자를 이용해 박막을 만드는 방법 (0) 2022.07.20 #4. 삼성에서 교육하는 8대공정 정리 (0) 2022.03.12